에티오피아 섬유 및 의류 기업 ESG 성과 기초 현황 평가
unido
2023-11-22
지난 30년간 에티오피아의 섬유·의류 산업은 중국을 중심으로 대규모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유치하며 성장하였으며, 저렴한 생산비용, 특혜관세 정책, 전략적 지리적 입지 등 에티오피아가 가진 유리한 요소들을 활용하며 급성장하였습니다. 2020년 9월부터 CNTAC, UNIDO, ETIDI가 공동으로 진행한 기초 현황 평가는 에티오피아의 중국 투자 섬유·의류 기업에 대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습니다.
보고서 개요
조사 대상: 에티오피아의 중국 투자 기업 15개, 현지 소유 기업 10개, 비중국 FDI 5개
주요 분야: 인적 자원 관리, 노동권, 지역 사회 관계, 공급망 관리, 환경 보호, 코로나19 영향 대응 등
결과:
- 중국투자기업에서 에티오피아인 근로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
- 여성 근로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여성 관리자의 비율은 낮음.
- 기업들은 유연한 의사소통과 협상방식을 채택하여 노동관계 관리와 권리보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
- 대부분의 기업들은 환경적 실천과 관련하여 환경보호가 경제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음.
- 중국투자기업들은 환경관리 목표, 시스템, 의사소통 메커니즘, 교육계획 등을 수립 중
- 코로나19 팬데믹은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 이상에 영향을 미쳐 운영 한계, 주문 불확실성, 취소, 인력 부족 등을 초래함.
한계:
- 현지 정책과 기준의 부재
- 외국 벤치마크 의존
- 일관성 없는 현지 정책
- 업계 조직의 지원 부족
향후 목표:
- ESG 경영 교육 실시
- 매뉴얼 등 실무 도구 개발
- ESG 지식 허브 또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
- 관련 교육 활동을 통한 경영 시스템 인재 및 자본 부족 해소
- 에티오피아 섬유·의류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FDI의 기여 제고
기초 현황 평가 보고서 원문
Ethiopia_Baseline Study Report_Textile and Apparel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