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DO ITPO Korea는 기준 평가 보고서(Baseline Assessment Report)를 발간하여 우즈베키스탄의 a)경제 및 산업 발전; b)투자 촉진 정책 및 조치; c)선진 외국 기술 이전 기회; d)산업 성장 등에 대한 성과 기준을 제공하였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은 혁신을 주도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급 기술 산업을 더 발전시키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우즈베키스탄은 한국을 선진 기술 능력으로 인해 주요 파트너로 지정했습니다. 한국과 다른 선진 경제국들과의 협력은 고급 기술 산업의 성장과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UNIDO는 우즈베키스탄에 자문관을 파견하여 효과적인 프로젝트 계획과 실행에 필수적인 관련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유니도(UNIDO)는 보고 기간 동안 포괄적인 연구와 분석을 수행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협력 분야와 실질적인 구현에 대한 잠재적인 도전 요소를 확인하는 데 많은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측이 제안한 협력 우선 분야로는 "녹색" 개발, 디지털화, 그리고 사회 보호 시스템 강화가 있습니다. 이 관련하여 미래의 공동 프로젝트와 행동 계획은 이러한 우선 분야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합니다.
분석 결과, 우즈베키스탄의 대부분 지역은 제조 공정의 새로운 기술 접근, 중국, 러시아 및 벨라루스를 넘어 다양한 기술 파트너와의 다변화, 자동차 부품, 텍스타일, 고부가가치 상품 및 농업 기계 분야에 투자 증가가 필요합니다. 토지 이용 가능성, 저렴한 노동력, 경제적인 전기 및 가스, 그리고 훌륭한 인프라와 같은 유리조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역들은 기술과 투자자의 부재로 인해 경제적 가속이 방해받고 있습니다.
한국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우즈베키스탄 제조업체는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며 제품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이로 인해 국내 및 국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한 좋은 위치를 얻게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즈베키스탄 기준 평가 보고서』는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및 산업, 투자 전략에 대해 자세히 다뤘으며, 이에 우즈베키스탄 현지 산업 및 정책 정보를 얻고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자 하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해당 첨부파일에서 확인 바랍니다.